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
집을 사는게 꿈이지만, 어찌나 그렇게 집마련하는게 어려운지
미리 공부 할겸 해서 내가 나중에 참고 하려고
보금자리론에 대해 정리 해놓는다.
1. 상품 종류
주택금융공사에서 시행하며,
보금자리론 상품은 3종류가 3가지 이다.
1. u-보금자리론
2. 아낌e보금자리론
3. t-보금자리론
공부해서 아낌e 보금자리론으로 직접 신청하면 금리가 0.1%라도 싸니 참고하자.
요새 유튜브에도 신청 절차가 잘나와있으니, 신청시에 시간을 내서 공부하도록 하자.
< 보금자리론 차이점 >
u보금자리론, 아낌e보금자리론의 가장 큰 차이는 일부서류를 전자 약정으로 체결하는데 있다.
아낌e보금자리론의 경우는 일부서류를 전자약정식으로 체결한다.
- 인터넷 신청하는 경우
u보금자리, 아낌e보금자리
- 은행 방문
t-보금자리론
2. 신청 대상
- 소득 : 연소득 7천만원 이하 (미혼이면 본인만, 기혼이면 부부합산)
- 신혼가구* : 부부합산 연소득 85백만원 이하
- 다자녀가구 :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부부합산 연소득 최대 1억원 이하
- 미성년 자녀 1명인 경우 부부합산 연소득 최대 8천만원 이하
- 미성년 자녀 2명인 경우 부부합산 연소득 최대 9천만원 이하
3. 대상 주택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대출 승인일 현재의 주택의 평가금액이 6억원 초과하는 주택은 더 볼것도 없다.
뒤로 가기를 누른뒤 다른 대출을 알아보자.
아마도 주택 담보 대출을 알봐야 할것이다.
부동산 등기부등본 상 주택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단독주택만 가능
※ 주거용 오피스텔, 근린생활시설, 숙박시설 등 제외
- 대출승인일 현재 담보주택의 평가액이 6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은 취급 불가
- 구입용도인 경우 시세, 감정평가액, 매매가액(낙찰가, 분양계약서 상 실매매액 등 고객이 실제로 지급한 금액) 중 어느 하나라도 6억원 초과하는 주택 제외
- 단, 신청일 담보주택의 시세정보가 6억원 이하이면 대출승인일 시세정보가 6억원을 초과하더라도 시세정보를 6억원으로 간주. 이 경우에도 승인일 시세정보가 9억원을 초과하면 취급 불가(보전 · 상환용도를 포함하며 공사가 사전심사하는 경우에 한함)
4. LTV
LTV는 70% 까지 나오니, 6억의 70%면,
아마도 4억2천 이라고 생각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
아래 대출 한도를 살펴보자
5. 대출 한도
- 최대 3억 6천만원(미성년 자녀가 3명인 가구의 경우 4억원)
- 최대 LTV : 70%
- 단, 실수요자 여부에 따라 지역별(투기지역 ·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지역)로 LTV를 달리 적용하고, 잔금대출인 경우에는 분양공고일 및 매매계약일에 따라 별도의 LTV를 적용(④조정지역 등 지역별 유의사항 참고)
- 또한, 임대보증금 및 주택유형에 따라 지역별 소액임대차보증금을 차감
EX1 ) 5억1천만원 짜리 아파트를 LTV 70으로 대출 받으면,
거의 최대치인 3억5천700 만원 대출 ( 내돈 1억5천300 필요 )
EX2) 6억 짜리 아파트를 70% 대출받으면 최대치인 3억 6천만원 대출 가능 ( 내돈 2억 4천만원 필요 )
EX3) 6억 넘는 아파트는 보금자리 대출 안나옴.
은행권의 주담대 알아봐야 할것
6. 금리
보금자리론을 신쳥하는 절대적인 이유이기도한 고정 금리 !!
금리는 고정금리이며, u랑 t는 같고 아낌e보금자리만 0.1프로씩 이자가 싼것으로 확인된다.
고정금리라는게 확실히 강점이다.
30년까지가 최대인줄 알았는데, 최대 40년 까지 가능하다.
( 으휴 집하나 사면 평생 갚다 늙어 죽겠다. )
우대 금리를 받을수 있다.
7. 상환 방식
당장 돈이 없을때는 체증식이 유리 하다.
-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원금균등 분할상환, 체증식 분할상환(만기 40년 이용 불가) 중 한 가지를 선택
- 원리금균등 분할상환 : 대출 원금과 이자를 매달 똑같은 금액으로 갚아 나가는 방식
- 원금균등 분할상환 : 대출원금만 매달 똑같은 금액으로 갚아 나가는 방식
- 체증식 분할상환(만 40세 미만인 경우로서 u-보금자리론 및 아낌e-보금자리론 이용 시) : 초기에 상환하는 원금과 이자가 적고 회차가 지날수록 상환원금과 이자가 늘어나는 방식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주택금융공사의 공식홈페이지에서 찾아보길 권한다.
댓글